[함께 생각하기] #1.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위한 핵심 논제와 주요 현안
- 기존 운용하고 있는 웹 사이트, 블로그, 소셜 미디어 채널의 역할과 목표는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?
- 소셜 미디어를 통한 고객과의 직접 소통이 가져온 성과는 무엇이며, 향후 어떠한 기업 핵심 활동에 기여해야 하나?
- 미래 변화를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현재 상황에서 고려해야 할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무엇인가?
- 스마트 기기와 다양한 ‘스크린’의 등장으로 인해 고객의 정보 탐색과 콘텐츠 소비는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?
- 우리의 커뮤니케이션 대상자는 누구이며, 그들은 기업 | 브랜드와 어떤 방식으로 소통하고자 하는가?
- 고객이 관심을 갖는 콘텐츠의 유형은 어떤 것들이며, 어떤 특성을 갖는 콘텐츠들이 자발적인 확산과 참여를 촉진시키는가?
- 모바일 스마트 기기를 통한 정보 획득과 이용자간 교류, 콘텐츠 공유 경향의 시사점은 무엇인가?
- 우리는 어떻게 고객과 만나고 있으며, 어디에서 고객과의 유의미한 교류가 벌어지고 있는가?
- 우리가 전달해야 하는 메시지 | 스토리를 어떤 방식으로 구성해야 고객 | 이해관계자의 관심도를 더 높일 수 있을까?
- 고객의 의견은 우리 기업 | 브랜드와 관련하여 어떻게 표출되고 있으며, 그들의 목소리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어떻게 기업활동에 반영할 수 있을까?
- 효과적이고 기민한 콘텐츠 대응을 위한 조직적 체계는 어떻게 설정해야 하나?
- 지역, 시장, 부서와 직능 별 역할과 책임을 어떻게 규정하고 능동적인 참여와 지원을 이끌어낼 것인가?
- 부문 별 임직원들의 올바른 행동 규범과 능동적 활용 촉진을 위한 프로그램과 가이드는 어떻게 마련해야 하는가?
- 업무 통합과 효율적인 업무 지원 체계를 위한 시스템(Integrated Management System)을 도입한다면, 이에 따른 기대효과와 사전 준비사항은 무엇인가?
- 글로벌 기업의 본부(HQ)로서 어떻게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효과적으로 지역-지사와 공유하고 리드해나갈 것인가?
- 고객에 대한 메시지 전달, 지속적인 관심과 교류, 기업과 브랜드에 대한 이해와 선호도 증진과 같은 각각의 목표의 성과 측정을 위한 핵심지표(KPI)는 어떻게 설정해야 하나?
- 적정 규모의 팬 | 팔로워 | 구독자의 규모와 참여 정도는 어떻게 설정해야 하나?
- 각 부문 별 커뮤니케이션 활동 결과의 비즈니스 성과는 어떻게 해석되고 공유되어야 하는가?